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62%로 나타나며, 취임 직후보다 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정 신뢰도는 63%로, 같은 기간 부정평가보다 크게 앞서는 흐름을 보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평가가 62%로 나타나며, 취임 직후보다 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대통령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62%, ‘잘못하고 있다’는 평가는 21%로 긍정 인식이 우세했다.
국정운영에 대한 신뢰도 역시 ‘신뢰한다’는 응답이 63%,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9%로 나타났다.
정당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5%로 1위를 기록했으며, 국민의힘은 20%로 절반 이하 수준에 머물렀다. 개혁신당은 5%, 조국혁신당은 4%, 진보당은 1%를 기록했고, 지지정당이 없거나 유보한 응답자는 23%에 달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에 대해서는 ‘잘한 인선’이라는 평가가 45%로, ‘잘못한 인선’(31%)보다 많았다. 민주당 및 조국혁신당 지지층은 인선에 대해 70% 이상 긍정 평가했으며, 중도층에서도 긍정 응답이 45%로 나타났다.
정부가 추진 중인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61%로, ‘필요하지 않다’(28%)를 크게 앞질렀다. 40~50대 응답자에서는 찬성 비율이 각각 71%, 77%로 높았고,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했다.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방식에 대해서는 ‘소득수준별 차등 지급’이 48%로 가장 높았고, ‘취약계층 선별지원’(27%), ‘전 국민 동일 지급’(21%)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채무 탕감에 대해서는 ‘반대’ 응답이 59%로 ‘찬성’(37%)보다 높았으며, 경제적 상위 계층일수록 반대 응답 비율이 높았다.
대북정책에 대한 인식 변화도 눈에 띄었다. 북한을 ‘화해와 협력의 대상’으로 보는 응답이 56%로 ‘적대와 경계의 대상’(38%)보다 많았으며,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서는 ‘정치·군사적 상황에 따라 달리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이 63%로 우세했다.
대북 전단 살포와 관련해선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72%에 달해 ‘막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21%)을 압도했다. 더불어민주당과 무당층,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서 전단 살포 금지 의견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보수 지지층에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모병제 도입에 대해서는 ‘찬성’이 47%, ‘반대’가 44%로 찬반이 팽팽하게 맞섰고, 군 의무복무 기간에 대해서는 ‘적정하다’는 인식이 61%로 과반을 넘겼다. 다만 18~29세 응답층에서는 ‘복무기간을 줄여야 한다’는 응답이 ‘늘려야 한다’는 응답보다 높게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통신 3사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18.3%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