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23일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을 개발 완료하고 상업적 목적으로도 무료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네이버 하이파클로바X 경량모델 3종 오픈소스 공개 [네이버 제공]
이번에 공개된 모델 중 '하이퍼클로바X SEED 3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모델로, 도표 이해, 개체 인식, 사진 묘사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한국어·한국문화와 영어 관련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9개 벤치마크에서 이 모델은 유사한 미국 및 중국 모델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기록했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 전략이 가속화되며 네이버 서비스에 안정적, 비용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고, 최근 가장 수요가 많은 모델이 경량과 추론 모델이었다"며 "이중 기업들이 부담 없이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 소스로 공개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또한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도 상반기 중에 선보일 예정이다. 이 추론 모델은 수학, 프로그래밍 분야의 정확성을 넘어 시각 및 음성 정보 이해, 자동 웹 검색, 데이터 분석 등 하이퍼클로바X의 전반적인 능력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회사 측은 이 추론 모델에 '제주도 서귀포 쪽에 아이들과 갈 만한 관광지 어디 있을까? 후기 좋은 숙소도 예약해줘'와 같은 질문을 입력하면, 모델이 스스로 사고하는 추론을 통해 답변 계획을 세우고 기존 네이버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이미지·영상·음성으로 확장한 멀티모달 모델, 저비용 경량 모델, 추론 모델을 중심으로 하이퍼클로바X를 고도화하고, 이를 네이버 서비스에 적용하거나 기업용 솔루션 개발, 오픈 소스 공유 등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최근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소버린 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며,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체력전"이라며 "이 과정에서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 밀착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탄탄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번 경량 모델 공개는 글로벌 AI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국내 IT 기업인 네이버가 한국형 AI 생태계 구축과 산업계 적용을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특히 상업적 용도로도 무료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국내 기업들의 AI 활용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