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주요 기업이 통상위기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1일 오전 서울 총리공관에서 삼성, SK, 현대차, LG 등 4대 그룹 회장과 함께 제1차 ‘경제안보전략 TF’ 회의를 열고, 민관이 공동 대응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서울 종로구 총리공관에서 열린 경제안보전략TF 회의에 앞서 참석 기업인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 부총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한 권한대행,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인 최태원 SK회장, 구광모 LG회장
이날 회의는 미국이 오는 2일(현지시간) 발표 예정인 ‘상호관세’ 조치에 대응해 우리 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피해 최소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긴급히 마련됐다. 정부는 기존 부처 중심 통상 대응 체계를 민관 합동 TF로 전환해 협력 강도를 높이기로 했다.
회의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을 비롯해 최상목 경제부총리, 조태열 외교부 장관, 안덕근 산업부 장관 등 주요 경제·외교·안보 관계자들이 총출동했다.
한덕수 권한대행은 “통상 환경의 불확실성은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기업과 정부가 함께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민관 네트워크를 총결집해 전방위 아웃리치(대외 설득·협력 활동)를 전개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지금의 통상위기는 정부나 기업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다”며 “국민, 기업, 정부가 하나로 뛰어야만 위기를 돌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기업은 과감한 도전과 혁신을, 정부는 불필요한 규제를 제거하고 전폭적인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4대 그룹 회장들은 통상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공감하며 “국익 차원에서 최대한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또 미국의 반도체과학법과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으로 인한 규제와 관세 부과 우려에 대한 세제지원 등 실효적 대응을 정부에 요청했다.
정부는 향후 TF를 중심으로 미국과의 통상 협상력을 강화하고, 통상 리스크 대응 체계를 민관 공동으로 정례화해 통상 안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