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현대차·기아, 미국 시장 누적 판매 3000만 대 눈앞… '역대급' 성장세

  • 최인미 기자
  • 등록 2025-03-24 11:41:02
기사수정
  • 1986년 진출 이후 꾸준한 성장세… 올해 안에 대기록 달성 전망
  • SUV·제네시스·친환경차 등 라인업 다양화… 상품성 앞세워 시장 공략

현대차·기아가 미국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올해 안에 누적 판매 3000만 대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자동차 아반떼

현대차·기아는 1986년 미국 시장에 첫발을 내딛은 이후, 지난 2월까지 누적 판매 2930만 3995대를 기록했다.  현대차가 1711만 6065대, 기아가 1218만 7930대를 판매하며 합작한 성과다.    


지난해 현대차는 91만 1805대, 기아는 79만 6488대를 판매하며 양사 모두 미국에서 역대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이러한 판매 호조에 힘입어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GM, 토요타, 포드에 이어 2년 연속 4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현대차·기아는 높은 상품성과 유연한 생산 체제를 바탕으로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올해 미국 시장에서 누적 판매 3000만 대를 달성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현대차의 미국 시장 진출은 1986년 1월, 울산 공장에서 생산된 세단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면서 시작됐다.  미국 진출 20년째인 2005년에는 앨라배마주에 첫 현지 생산 공장을 완공하며 미국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기아는 1992년 기아 미국 판매 법인을 설립하고, 1994년 2월 세피아, 11월 스포티지 판매를 시작으로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2006년에는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에 조지아 공장 기공식을 열고, 2010년 완공하며 생산 기반을 마련했다.    


현대차·기아는 1990년 누적 판매 100만 대를 돌파한 이후, 2004년 500만 대를 넘어섰고, 2011년에는 1000만 대를 기록했다.  이후 매년 100만 대 이상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며 2018년 누적 판매 2000만 대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뤘다.    


1000만 대 돌파까지 25년이 걸렸으나, 이후 2000만 대 달성까지는 불과 7년밖에 걸리지 않아 현대차·기아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입증했다.    


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현대차 모델은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로, 1991년 판매 시작 이후 지난 2월까지 388만 대가 판매됐다.  쏘나타(342만 대), 싼타페(238만 대), 투싼(187만 대)이 그 뒤를 이었다.    


기아는 쏘렌토가 2002년 판매 시작 이후 183만 대가 판매되며 최다 판매 모델에 등극했다.  스포티지(166만 대), 쏘울(152만 대), K5(150만 대)도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현대차·기아의 성공 요인은 판매 라인업 다양화와 높은 상품성에 있다.    


초기에는 세단 위주로 판매했으나, SUV, 제네시스, 친환경차 등으로 판매 라인업을 다각화하여 시장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판매 및 수익성 향상에 주력했다.    


현대차는 소형 SUV 베뉴부터 코나, 투싼, 싼타페, 대형 SUV 팰리세이드에 이르는 풀 SUV 라인업을 구축했다.  기아 역시 셀토스, 니로,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로 이어지는 풀 SUV 라인업을 완성하며 SUV 인기가 높은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였다.    


지난해 현대차·기아의 SUV 판매량은 128만 4066대로, 전체 판매량의 75%를 넘어설 정도로 SUV 판매 비중이 높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2016년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고급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제네시스는 2016년 6948대 판매를 시작으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지난해에는 7만 5003대를 판매하며 처음으로 미국 연간 판매 7만 대를 돌파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내 전동화 전환 추세에 발맞춰 전기차 판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4년 기아 쏘울 EV를 시작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 현대차·기아는 2017년 현대차 아이오닉 EV를 출시하며 전기차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초기에는 연간 전기차 판매량이 1000여 대 수준이었으나, 2021년 1만 9590대를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의 주요 업체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2022년에는 E-GMP 플랫폼 기반의 아이오닉 5, EV6 등 신차 출시와 제네시스 브랜드 전기차 출시를 기점으로 판매량이 급증하며, 2022년 연간 판매량은 전년 대비 337.5% 증가한 5만 8028대를 기록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23년에는 9만 4340대, 2024년에는 12만 3861대를 판매하며 연간 처음으로 미국 전기차 판매 10만 대를 돌파하는 신기록을 세웠다.    


현대차·기아는 품질 면에서도 미국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020년 텔루라이드를 시작으로 2021년 아반떼, 2023년 EV6, 2024년 EV9 등 5년간 4개 차종이 북미 올해의 차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또한,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11월 미국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가 발표한 '2025 잔존가치상'에서 코나 일렉트릭이 전동화 SUV 부문, 텔루라이드가 3열 중형 SUV 부문에서 각각 수상하며 뛰어난 품질을 인정받았다.    


현대차·기아는 향후에도 라인업 확대, 높은 상품성 유지와 더불어, 지난해 10월 양산을 시작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에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하며 급변하는 미국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0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건설사 부도 증가로 건설공제조합 대위변제액 21% 증가 건설 경기 악화로 인해 지난해 건설공제조합이 회원사인 건설사 대신 협력업체에 지급한 하도급 대금 등 대위변제액이 2,218억원으로 전년 대비 21.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건설공제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위변제액은 2,218억원으로, 전년(1,831억원)보다 387억원 늘어났다. 대위변제는 건설공제조합이 보증을 제공한 회원사인 .
  2. 대법원, 이재명 '김문기 골프·백현동' 발언 '유죄 취지' 파기환송... 여야 격돌 대법원이 5월 1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김문기 골프 발언'과 '백현동 국감 발언'을 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로 판단하고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하자, 여야가 정면으로 충돌하며 격렬한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후 4시 30분 기자회견에서 "법 앞에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는 헌법의 원칙이 재...
  3. 한덕수, “개헌 마무리 후 즉시 사임”…대선 출마 공식 선언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임기 3년 내 개헌을 마무리하고 곧바로 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개헌, 통상 현안 해결, 국민통합을 3대 핵심 과제로 내세웠다.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를 선언한 한 전 총리는 “대통령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개헌을 완수하기 위해 출마하는 것...
  4. LG화학, 1분기 영업이익 68.9% 증가… “포트폴리오 재편 효과 본격화” LG화학이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2조1710억원, 영업이익 4470억원의 실적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8.9% 증가했으며,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이 1.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30일 LG화학은 이 같은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며, 사업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재편과 운영...
  5. 정부, 7월까지 추경 70% 신속 집행…민생·산업 총력 대응 정부는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해 12조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7월 말까지 70% 이상 신속히 집행하고, 민생 안정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종 지원책을 가속화하기로 했다.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현 정부의 마무리까지 흔들림 없이 리스크에 대응하고 민생 ...
  6. 박찬대 “장애인 권리 보장, 대선 공약으로 실현할 것”… 정책제안 페스티벌 축사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장애인 정책제안 페스티벌’에 참석해,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이날 박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격은 약자를 어떻게 대하는가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장애인이 체감할 ...
  7. BNK금융그룹, 1분기 순이익 1666억원…전년比 33.2%↓ 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이 25일 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이 16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9억원(33.2%) 감소했다고 밝혔다.BNK금융그룹의 1분기 순이익 감소는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 이익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 이익 감소와 대손비용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은행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