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볼보 EX30, 높은 가격 경쟁력과 상품성 갖추며 대체 불가능한 선택지로 자리매김

  • 최인미 기자
  • 등록 2025-03-21 11:59:13
기사수정

전기차 수요둔화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각 자동차 브랜드는 새로운 전기차를 출시하면서 점유율 확보를 꾀하고 있다.

 

볼보자동차코리아(대표: 이윤모)는 차세대 프리미엄 전기 SUV `볼보 EX30`을 지난달 공식 출시하고 이달부터 본격 출고를 시작했다.

이에 볼보자동차코리아(대표: 이윤모)는 차세대 프리미엄 전기 SUV `볼보 EX30`을 지난달 공식 출시하고 이달부터 본격 출고를 시작했다.

 

EX30은 지난달 공식 출시한 이후 시승 신청만 1만 6천여 명을 돌파하고 초도 물량 500대가 완판되는 등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프리미엄 전시 SUV다.

 

보조금 적용 시 최대 4000만원 초반에 구매할 수 있는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최첨단 안전 사양 및 편의 사양을 탑재하는 등 다양한 구매 요인으로 엔트리급 전기 SUV 시장에서 대체 불가능한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우선 EX30은 메르세데스-벤츠 EQA, BMW iX1, 아우디 Q4 e-tron 등 수입 프리미엄 브랜드 엔트리급 전기 SUV 비교 모델들과 최대 1,500만원 이상 저렴한 공격적인 판매가를 책정했다.

 

특히 스웨덴, 독일, 영국 등 주요 글로벌 시장 대비 2,0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을 책정,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출시해 가격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62.6%라는 높은 수준의 휠베이스(2,650㎜)/전장(4,235㎜) 비율 확보해 차급 대비 넓은 공간도 갖췄다.

 

이는 테슬라 모델Y를 비롯해 벤츠 EQA, BMW iX1 등 주요 엔트리급 경쟁 모델(59.8~61.1% 수준) 대비 높은 공간 활용성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다.

 

여기에 272마력의 모터 출력과 5.3초 만에 시속 100㎞까지 도달할 수 있는 후륜 기반 싱글 모터 익스텐디드 레인지(Single Motor Extended Range) 파워트레인은 운전의 재미를 한층 높여준다.

 

제로백 5.3초는 테슬라 모델Y RWD(6.9초), 아우디 Q4e-tron(8.5초), BMW iX1 xLine(5.6초) 보다도 빠른 수치다.

 

최대 153kW의 급속(DC) 충전을 통해 10~80%까지 약 28분 만에 충전이 가능하며,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는 환경부 인증 복합 기준 351㎞이지만, 실 주행거리는 400㎞를 무난히 넘어 장거리 주행에도 용이하다.

 

특히 EX30에는 이전 차량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사운드 시스템이 탑재됐는데, 홈 오디오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적용된 하만카돈 프리미엄 사운드 바가 바로 그것이다.

 

울트라 트림 기준 9개의 스피커와 우퍼로 구성된 1,040W급 하만카돈 프리미엄 사운드 바는 각각에 전용 채널을 제공해 세그먼트를 뛰어넘는 사운드 경험을 선사한다.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의 사운드 바에는 프리미엄 사운드 트위터와 중음역대 스피커 5개가 탑재되어 있으며 뒷좌석 도어에는 전음역대 스피커 2개가 적용됐다.

 

특히 특허받은 ECS(External Coupled Speaker) 우퍼와 트렁크의 서브우퍼를 통해 강력하면서도 정확한 베이스 사운드를 제공한다.

 

공기 통풍식 스피커 설계를 통해 우퍼와 서브우퍼는 적재 공간이나 좌석 공간을 침범하지 않고도 엄청난 양의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여기에 QLS(Quantum Logic Surround) 5.1 기술은 차량 내 탑승객이 어디에 앉아 있어도 풍성한 사운드를 제공하며, 사운드가 운전자에게 집중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사전에 설정된 3가지 사운드 모드와 이퀄라이저를 통해 사운드 경험을 쉽게 개인화(맞춤)할 수도 있어 차량을 나만의 콘서트홀로 만들 수 있다.

 

EX30은 `안전 공간 기술(Safe Space Technology)` 명칭 되는 볼보자동차의 표준 안전 기술이 새롭게 도입돼 플래그십에 맞먹는 안전성을 갖췄으며, 이러한 빈틈 없는 안전 기술을 바탕으로 지난해 유로앤캡(Euro NCAP) 최고 등급을 획득하기도 했다.

 

또한 티맵 모빌리티와 함께 개발한 5G 기반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을 탑재해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진화하는 스마트 카의 경험도 제공한다.

 

96% 이상의 한국어 인식률을 자랑하는 누구 오토(NUGU AUTO)를 통해 음성 인식만으로 내비게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공조 조절, 충전 및 기타 설정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EX30은 편의사양에 따라 코어(Core) 및 울트라(Ultra) 트림 두 가지로 출시된다.

 

여기에 ▲업계 최고 수준의 5년 또는 10만 ㎞ 일반 부품 보증 및 소모품 교환 서비스 ▲8년/16만㎞ 고전압 배터리 보증 ▲15년 무상 무선 업데이트(OTA) 지원 ▲5년 무상 5G 디지털 서비스 패키지 등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가격의 경우 코어(Core) 트림은 4,755만원, 울트라(Ultra) 트림은 5,183만원(친환경 세제 혜택 후 가격, 보조금 미포함)으로 책정됐으며, 국고 및 지자체 전기차 보조금 적용 시 트림에 따라 4천만원 초반에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0
포토뉴스더보기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건설사 부도 증가로 건설공제조합 대위변제액 21% 증가 건설 경기 악화로 인해 지난해 건설공제조합이 회원사인 건설사 대신 협력업체에 지급한 하도급 대금 등 대위변제액이 2,218억원으로 전년 대비 21.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건설공제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대위변제액은 2,218억원으로, 전년(1,831억원)보다 387억원 늘어났다. 대위변제는 건설공제조합이 보증을 제공한 회원사인 .
  2. 대법원, 이재명 '김문기 골프·백현동' 발언 '유죄 취지' 파기환송... 여야 격돌 대법원이 5월 1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김문기 골프 발언'과 '백현동 국감 발언'을 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로 판단하고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하자, 여야가 정면으로 충돌하며 격렬한 공방을 벌였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후 4시 30분 기자회견에서 "법 앞에 누구도 예외일 수 없다는 헌법의 원칙이 재...
  3. 한덕수, “개헌 마무리 후 즉시 사임”…대선 출마 공식 선언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고 “임기 3년 내 개헌을 마무리하고 곧바로 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그는 개헌, 통상 현안 해결, 국민통합을 3대 핵심 과제로 내세웠다.2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를 선언한 한 전 총리는 “대통령이 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개헌을 완수하기 위해 출마하는 것...
  4. LG화학, 1분기 영업이익 68.9% 증가… “포트폴리오 재편 효과 본격화” LG화학이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2조1710억원, 영업이익 4470억원의 실적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8.9% 증가했으며,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이 1.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30일 LG화학은 이 같은 1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하며, 사업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재편과 운영...
  5. 정부, 7월까지 추경 70% 신속 집행…민생·산업 총력 대응 정부는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해 12조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7월 말까지 70% 이상 신속히 집행하고, 민생 안정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종 지원책을 가속화하기로 했다.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현 정부의 마무리까지 흔들림 없이 리스크에 대응하고 민생 ...
  6. 박찬대 “장애인 권리 보장, 대선 공약으로 실현할 것”… 정책제안 페스티벌 축사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21대 대선 장애인 정책제안 페스티벌’에 참석해,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 추진 의지를 밝혔다. 이날 박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국격은 약자를 어떻게 대하는가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장애인이 체감할 ...
  7. BNK금융그룹, 1분기 순이익 1666억원…전년比 33.2%↓ 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이 25일 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이 16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29억원(33.2%) 감소했다고 밝혔다.BNK금융그룹의 1분기 순이익 감소는 유가증권 관련 이익 등 비이자 이익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자 이익 감소와 대손비용 증가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은행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