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년 공동주택 입주물량이 올해보다 2만 가구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서울 집값 상승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서울의 아파트 공급이 예년보다 많으며, 공급절벽 우려는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는 서울의 아파트 공급이 예년보다 많으며, 공급절벽 우려는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서울경제는 14일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의 분석을 인용해 서울 내년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이 올해(4만 6,710가구)보다 2만 가구 이상 감소한 2만 4,462가구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서울뿐만 아니라 경기·인천 등 수도권 전반에서도 입주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돼, 주택 공급 감소가 집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나 국토부는 같은 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서울의 입주물량이 충분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4만 7천 호로, 2005년 이후 네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2025~2026년 2년간 서울에서 공급될 아파트는 7만 1천 호로, 최근 2년간 입주물량을 넘어설 전망이다. 특히 강남 3구에서만 2만 호, 정비사업 단지만 4만 5천 호 공급될 예정이어서 공급 부족 우려는 과도하다는 입장이다.
또한, 국토부는 신속한 주택 공급을 위해 신축매입 방식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축매입은 LH와 민간사업자가 협약을 맺어 주택을 신속히 공급하는 방식으로, 2024~2025년 11만 호를 확보했으며 이 중 80%는 수도권에 배정됐다.
해당 물량은 기존 부동산원·서울시 발표에 포함되지 않아, 실제 공급량은 예상보다 많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정부는 2027년 이후에도 공급이 안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3기 신도시 및 수도권 중소택지를 통해 연평균 4만 7천 호 이상 공급될 예정이며, 서울에서는 정비사업 단지만 2만 3천 호가 확정됐다.
여기에 상한 용적률 완화, 재건축 규제 완화 등의 정책 효과가 반영되면 공급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 아파트 공급이 줄어든다는 우려는 사실과 다르며, 정부는 실질적인 공급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앞으로도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