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일제강점기 최대의 전 민족적 독립항쟁으로 일제 식민 통치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한민족 독립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3·1운동'을 '2025년 3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기미독립선언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일제의 헌병무단통치로 한국민들이 탄압받고 한국의 일본화 정책이 강행되던 시기, 제1차 세계대전 종전으로 국제정세가 변화하면서 독립운동의 전환기가 마련되었다. 국권을 침탈당한 지 8년 6개월이 지난 1919년, 역사적인 3·1운동이 시작되었다.
3·1운동을 위한 준비는 1919년 1월부터 독립선언서 작성으로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종교계와 학생층의 개별적인 독립운동 추진계획이 통합·단일화되면서 범국민적 독립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가 구축되었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들은 태화관에 모여 대한독립 만세를 제창한 후 일본 경찰에 연행되었다. 같은 시간 탑골공원에 모인 학생과 군중들은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외친 뒤 종로 방향으로 이동하며 대규모 시위행진을 펼쳤다.
시위대가 대한문 앞에 이르렀을 때는 서울 시내 전체가 만세 소리와 군중들의 함성으로 가득 찼다. 시위대의 규모가 커지면서 일부는 미국영사관으로, 또 다른 일부는 총독부 방향으로 행진했다.
3월 1일에 시작된 독립운동의 불길은 점차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다. 고종의 국장에 참례했던 지역 인사들이 귀향하여 3·1운동 소식을 전했고, 일부 주민들은 마을 산 위에서 불을 피우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운동을 알렸다. 이러한 독립만세 시위는 5월 말까지 전국에서 1,700여 회에 걸쳐 이어졌다.
일제는 모든 인력을 동원해 만세 시위를 진압했다. 진압 과정에서 총검을 사용해 시위자들을 살해하거나 부상을 입히기도 했다. 재판에 회부된 사람들에게는 최고형인 사형이 선고되기도 했으며, 개인 시위자에게 거액의 손해배상금을 청구하는 등 3·1운동을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3·1운동은 전국적·전국민적·전민족적 독립운동으로서, 이후 다양한 형태의 민족독립운동이 일어나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또한 일제의 식민통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민족의 독립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줌으로써 한민족 독립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다른 국가의 민족운동과 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국가보훈부는 2025년 이달의 독립운동을 선정하기 위해 지난해 4월 23일부터 5월 22일까지 한 달간 국가보훈부, 광복회, 독립기념관 등의 누리집을 통해 국민 추천을 받았다.
국민이 추천한 3월의 독립운동으로는 만민공동회 개최(1898), 안중근 의사 순국(1910), 중광단 조직(1911), 조선산직장려계 사건(1917), 조선국민회 결성(1917), 추산정 만세의거(1919), 북간도 용정 3·13만세 운동(1919), 파리장서 사건(1919), 신민부 성립(1925), 재동경조선인단체협의회 결성(1927) 등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