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현행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하고 금융중개지원대출 금리도 연 1.50%에서 연 1.2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5일 기준금리를 현행 3.00%에서 2.75%로 0.25%포인트 인하하고 금융중개지원대출 금리도 연 1.50%에서 연 1.25%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금통위는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세계경제는 미국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확대되고 물가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아진 상황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그간 크게 확대되었던 미 신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되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미 달러화 강세 흐름이 일부 되돌려지고 주요국의 장기 국채금리는 하락했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국제금융시장은 미국의 관세정책 추진 상황,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경제는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 확대,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소비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가 약화된 모습을 보였다.
고용 시장에서는 주요 업종의 취업자수 감소세가 이어지는 등 둔화 흐름을 지속했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 발표한 1.9%에서 1.5%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금통위는 "경제심리 위축,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영향으로 내수 회복세와 수출 증가세가 당초 예상보다 낮을 것"이라며 성장률 하향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향후 성장경로에는 주요국 통상정책과 미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 국내 정치 상황 변화 및 정부의 경기부양책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및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1월 중 2.2%로 높아졌으나, 식료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 상승률은 1.9%로 안정세를 유지했다.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 중 2.7%로 소폭 하락했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물가상승률은 환율이 상방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낮은 수요압력 등의 영향으로 2% 내외의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금년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전망(1.9%)에 부합하는 1.9%로 예상되며, 근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치(1.9%)를 소폭 하회하는 1.8%로 전망된다. 향후 물가경로는 환율 및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흐름, 정부의 물가안정 대책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외환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국내 정치 불확실성, 미국의 관세정책 및 연준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 변화 등에 영향받으며 높은 변동성을 이어가다 하락했다.
장기 국고채금리는 국내외 금리인하 기대에 주로 영향받아 하락 후 반등했다. 주택가격은 서울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했고, 가계대출 증가규모도 둔화 추세를 이어갔다.
금통위는 "앞으로 성장세를 점검하면서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가계부채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금리하락 기조로 인한 재확대 가능성과 높은 환율 변동성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은 대내외 경제정책 및 국내 정치 상황의 변화, 그간의 금리 인하가 물가, 성장 및 금융안정 상황에 미치는 영향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앞으로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