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11일 코엑스에서 열린 'AI SEOUL 2025' 콘퍼런스에서 글로벌 AI 혁신 선도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인재양성, 인프라 조성, 투자 확대 등 7대 핵심 전략을 발표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일(화) 코엑스에서 개최된 'AI SEOUL 2025'에서 '글로벌 AI 혁신도시, 서울'이라는 주제로 비전 발표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번 전략을 통해 AI 산업 육성을 위한 중추적인 지원부터 첨단산업과의 융복합, AI 대중화와 행정혁신까지 동시에 추진해 AI 중심의 산업 재편을 위한 전방위적인 속도전에 나선다는 목표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 AI 순위에서 세계 6위권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인재'(13위), '연구'(13위), '벤처투자'(12위)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아 전략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서울시는 AI 산업 육성을 위한 7대 핵심 전략을 제시했다.
우선 서울시는 연간 1만 명의 AI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해 4천 명, 대학을 통해 6천 명의 인재를 배출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AI 등 이공계 분야 석사과정 장학금 제도도 신설해 매년 확대하기로 했다.
인프라 측면에서는 현재의 AI 허브보다 10배 확장한 '서울 AI 테크시티'를 양재 AI 혁신지구에 조성한다. 2028년 착공을 목표로 하는 이 시설은 연면적 27만㎡ 규모로, 국내외 대학원과 연구기관은 물론 문화·주거공간까지 갖춘 복합공간으로 조성된다.
투자 확대를 위해 향후 2년간('25~'26년) 5천억 원 규모의 AI 분야 투자를 새롭게 조성하고, GPU 서버 지원도 확대한다. 또한 AI 기술을 서울의 미래 4대 핵심 산업(AI, 바이오, 로봇, 핀테크) 및 디자인, 뷰티·패션 등 전략 산업과 융복합해 AI 중심의 산업구조로 재편을 추진한다.
시민들의 AI 체험 기회 확대를 위해 3월에는 '서울 AI 페스타'를, 10월에는 AI 비중을 확대한 스마트라이프위크(SLW)를 개최한다. 행정혁신을 위해서는 서울디지털재단을 서울AI재단으로 개편하고, AI 전용 데이터 제공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대한민국의 중심 서울시는 AI 기업들이 과감한 투자와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준비함과 동시에 인재까지 수혈할 수 있는 계획을 이번 AI 비전을 통해 마련했다"며 "모든 산업을 AI 중심으로 발 빠르게 육성·재편하여 글로벌 AI 3대 강국의 중심 서울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AI 분야 세계적 석학인 제리 카플란 스탠포드대 교수와 요슈아 벤지오 몬트리올대 교수의 기조강연도 진행됐다. 카플란 교수는 오 시장과의 특별대담을 통해 AI 기술의 변화와 서울의 미래에 대한 인사이트를 나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