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서울지하철 전 역사에 3D맵과 IoT센서, 지능형 CCTV 등을 활용한 '스마트스테이션'을 내년까지 확대 구축하는 등 첨단 안전관리 시스템을 강화한다고 30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30일(목) 오전 옥수역을 방문해 승강장안전문, 자동안전발판 등 안전시설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현재 189개 역에서 운영 중인 스마트스테이션은 내년까지 1~8호선 전체 276개 역으로 확대된다. 스마트스테이션은 승강장안전문, 소방, 승강기 등 역사 시설물을 통합 관리하며, 3차원 지도를 통해 실시간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실제로 스마트스테이션이 구축된 2·8호선의 경우, 돌발 상황 대응 시간이 11분에서 3분으로 72.7% 단축되고, 역사 순찰·순회 시간도 28분에서 10분으로 64.3% 줄어드는 등 안전관리 효율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하철은 현재 전 역사에 총 20,584대의 CCTV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전 노선에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비상통화·호출 장치 6,539대와 112직통비상벨 595대를 설치해 긴급상황에 대비하고 있다.
안전 인력도 강화했다. 271명의 지하철보안관이 2인 1조로 활동하며 이상행동 단속과 비상상황 초동조치 등을 수행하고 있다. 시는 보안관들의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특별사법경찰권 부여를 위한 법 개정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승하차 안전을 위한 시설 보강도 이뤄진다. 곡선 역 승강장과 열차 사이 빈 공간에 자동안전발판을 589개소에 설치 중이며, 구조적 이유로 발판 설치가 어려운 66개 역에는 승강장 연단 경고등을 도입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3호선 옥수역을 방문해 안전시설을 점검하고 "하루 700만 이용 시민의 일상을 지켜드리기 위해 안전 분야만큼은 어떤 양보나 타협 없이 집중 투자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