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628만 3천명을 기록해 전년 대비 2.5%(15만 5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국내인구이동통계' 결과, 지난해 국내 인구이동자 수가 628만 3천명을 기록해 전년 대비 2.5%(15만 5천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이동자의 65.4%인 410만 9천명이 같은 시도 내에서 이동했으며, 시도간 이동은 34.6%인 217만 5천명을 기록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나타내는 인구이동률은 12.3%로 전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20대(23.9%)와 30대(21.0%)의 이동률이 가장 높았고, 6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20대(1.1%포인트), 30대(0.9%포인트), 10세 미만(0.6%포인트) 순으로 이동률이 증가한 반면, 70대 이상은 감소세를 보였다.
시도별로는 인천(0.9%)과 세종(0.7%)이 높은 순유입률을 기록한 반면, 광주(-0.6%)와 제주(-0.5%)는 순유출률이 높았다. 특히 인천은 전 연령대에서 유일하게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경기도는 6만 4천명의 최대 순유입을 보였다.
전입 사유는 주택(34.5%), 가족(24.7%), 직업(21.7%) 순으로 나타났다. 시도내 이동은 주택(43.2%) 사유가, 시도간 이동은 직업(33.5%) 사유가 가장 많았다.
권역별로는 수도권(4.5만명)과 중부권(1.6만명)이 순유입을, 영남권(-4만명)과 호남권(-1.8만명)이 순유출을 기록했다. 시군구별로는 대구 중구(9.2%)와 경기 양주시(7.6%)가 가장 높은 순유입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