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23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 46조 6,237억원, 영업이익 2조 8,222억원, 당기순이익 2조 4,742억원을 기록했다.
하이브리드와 제네시스 등 고부가가치 차종의 판매 호조와 금융 부문 실적 개선으로 매출은 전년 대비 11.9% 증가했으나, 인센티브 증가와 기말 환율 급등에 따른 판매보증충당부채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17.2% 감소했다.
현대자동차가 23일 발표한 2024년 4분기 실적은 매출 46조 6,237억원, 영업이익 2조 8,222억원, 당기순이익 2조 4,742억원을 기록했다.
4분기 글로벌 도매 판매는 106만 6,239대를 기록했다. 국내는 경기 악화와 폭설로 인한 공급 차질로 18만 9,405대(▼4.6%)를 기록했으며, 해외는 북미(29만 4,384대, ▲4.4%)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중국과 유럽의 수요 감소로 87만 6,834대(▼1.6%)를 기록했다.
친환경차 판매는 하이브리드 14만 5,732대, 전기차 5만 3,035대 등 총 20만 9,641대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특히 북미 지역 SUV 하이브리드 판매가 크게 확대되며 성장을 견인했다.
4분기 매출원가율은 북미·유럽 인센티브 상승으로 80.5%를 기록했으며, 판매관리비 비율은 환율 영향으로 13.4%를 나타냈다. 이에 따른 영업이익률은 6.1%를 기록했다. 평균 원·달러 환율은 1,396.8원으로 전년 대비 5.8% 상승했다.
연간 기준으로는 도매판매 414만 1,959대, 매출액 175조 2,312억원, 영업이익 14조 2,396억원을 달성했다. 친환경차는 전기차 21만 8,500대, 하이브리드 49만 6,780대 등 총 75만 7,191대가 판매되어 전년 대비 8.9% 성장했다.
현대차는 2025년 판매목표를 417만대로 설정하고, 연결 매출액 성장률 3.0~4.0%, 영업이익률 7.0~8.0%를 목표로 제시했다. 투자 계획으로는 R&D 6.7조원, 설비투자 8.6조원, 전략투자 1.6조원 등 총 16.9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실적 호조를 반영해 2024년 기말 배당금을 주당 6,000원으로 결정했으며, 1~3분기 배당금 6,000원을 포함해 연간 배당금은 전년 대비 5.3% 증가한 주당 1만 2,000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배당성향 25% 이상 설정 정책에 따른 것으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