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3일 '2025년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협의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AI 기반 복지업무 혁신 등 위기가구 발굴·지원체계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행정안전부는 23일 '2025년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 추진협의회'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AI 기반 복지업무 혁신 등 위기가구 발굴·지원체계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올해 AI 전화기술을 활용한 위기가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하고, 읍면동 초기상담 체크리스트 개선과 '더블체크 시스템' 구축을 통해 위기가구 발굴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또한 읍면동 안전협의체 시범사업을 현재 40개 시군구에서 70개로 확대하고 지역별 맞춤형 운영모델을 개발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우정사업본부와 협력해 집배원이 직접 사회적 고립가구를 발굴·지원하는 '안부살핌 우편서비스'를 실시했으며, 하이트진로, 한국필립모리스, 오뚜기 등 민간기업과 협업하여 생활밀착형 제품과 푸드트럭 행사를 통해 위기가구 복지상담창구를 홍보했다.
김민재 차관보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현장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복지·안전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