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하며, 수출 부진과 고용시장 둔화 우려를 반영한 경제 전망을 내놓았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는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용 증가폭 축소와 건설투자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일 발표한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8%로 전망하며, 수출 부진과 고용시장 둔화 우려를 반영한 경제 전망을 내놓았다.
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가 실질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전년 대비 1.8%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4년 성장률 추정치(2.1%)보다 0.3%포인트(p) 하락한 수치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1%), 국제통화기금(IMF·2.0%), 한국은행(1.9%) 등 주요 기관 전망치보다 낮다.
정부는 수출 감소, 반도체 업종 경쟁 심화,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 등 외부 요인을 성장률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소비에 미친 영향을 고려했으며, 상반기 신속한 집행을 통해 경기 보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1.2% 증가에서 올해 1.8%로 완만하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가 완화되고, 가계 실질구매력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높은 가계부채와 소비심리 위축이 소비 회복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설비투자는 지난해 1.3%에서 올해 2.9%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반도체 첨단공정 전환 수요와 통화긴축 완화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만, 수출 둔화와 미국 신정부의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히 부담으로 남아 있다.
반면, 건설투자는 지난해 -1.5%에 이어 올해도 -1.3% 역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수주 및 착공 감소 영향이 실적에 반영되면서 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12만 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12만 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며, 이는 지난해 예상치(17만 명)보다 감소한 수치다. 생산연령인구 감소와 경기 약화가 고용시장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제조업과 건설업은 고용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IT 및 돌봄 서비스 수요 증가가 고용 확대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2.3%에서 올해 1.8%로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유가 안정과 경기적 요인의 영향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농산물 가격 변동성은 여전히 변수로 남아 있다.
올해 경상수지는 80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수출 증가세 둔화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수입 증가 제약이 반영된 수치다.
정부는 올해 1.8% 성장률 전망을 기반으로 신속한 경제 정책 집행을 통해 경기 보강과 불확실성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나, 고용시장 둔화와 건설투자 부진 등 경제적 도전 과제도 여전히 남아 있어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