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30일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기 사고와 관련해 사고기 조종사가 추락 4분 전인 오전 8시 59분 조류 충돌을 보고하며 메이데이 신호를 발신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왼쪽)이 3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무안 여객기 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주 실장,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 김홍락 공항정책관. ⓒ연합뉴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관제탑이 오전 8시 57분 조류 활동 경고를 보낸 뒤, 2분 후 조종사가 "메이데이, 메이데이, 메이데이"와 함께 "버드 스트라이크, 버드 스트라이크, 고잉 어라운드"를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사고기는 당초 예정된 01활주로가 아닌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로 착륙을 시도했다.
국토부는 복행 과정에서 관제사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동체 착륙 지점은 활주로 3분의 1 지점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현장에 잔해가 광범위하게 퍼져있어 정확한 착륙 지점과 엔진 작동 여부는 블랙박스 분석을 통해 확인될 예정이다.
사고 조사를 위해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 2명과 보잉사 관계자 2명이 이날 저녁 입국할 예정이며, 엔진 제작사 CFMI의 조사 참여는 아직 협의 중이다.
국토부는 이날 밤부터 훼손된 블랙박스의 분석 가능성을 우선 검토하는 등 속도감 있는 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그래픽]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날 무안국제공항에서 179명의 사망자를 낸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여객기는 조류 충돌 경고를 받은 뒤 조난신호인 '메이데이' 선언을 했고, 이후 반대 방향으로 다시 착륙을 시도한 뒤 약 3분 만에 활주로 외벽과 충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