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통화량(M2)이 정기 예·적금과 MMF 증가에 힘입어 전월 대비 39조7천억 원 늘며 17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0월 평균 **광의 통화량(M2)**은 4,110조4천억 원으로, 9월보다 1.0%(39조7천억 원)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6월 이후 17개월 연속 증가세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예금으로 구성된 M1을 포함해 머니마켓펀드(MMF),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 단기 금융상품을 포괄하는 지표다.
10월 통화량 증가를 이끈 주요 금융상품은 MMF, 정기 예·적금, 금전신탁, 금융채 등이다. MMF는 7조2천억 원, 정기 예·적금은 5조9천억 원, 금전신탁은 5조2천억 원, 금융채는 3조6천억 원 증가했다. 반면 기타 통화성 상품에서는 9천억 원이 감소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대규모 정기예금의 만기 도래에 따라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예금 유치를 강화하면서 정기 예·적금이 지속적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MMF와 금전신탁의 증가에 대해서는 “분기 말 유출됐던 법인 자금이 재유입된 것과 투자 대기성 자금 증가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가 5조7천억 원, 기업이 7조3천억 원, 기타 금융기관이 21조7천억 원 증가하며 전체 유동성을 끌어올렸다. 반면 기타 부문에서는 1조8천억 원 감소했다.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예금만을 포함하는 M1은 1,233조5천억 원으로, 전월보다 0.7%(8조9천억 원) 늘었다. M1 증가세는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을 중심으로 이어졌다.
한편, 한국은행은 수출 대금 유입으로 외화 예수금이 증가했지만 종합자산관리계좌(CMA)의 수익성 저하가 기타 통화성 상품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