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계가 12일 잇따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며 퇴진 운동 동참을 선언했다.
11월 1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인근에서 무상의료운동본부 등의 주최로 열린 ‘의료 민영화 추진하는 윤석열 정부 규탄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손피켓을 들고 있다. ⓒ 연합뉴스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자신의 쿠데타가 정당하다고 강변했다"며 "거리 운동을 지속해 대통령을 끌어내리고 공공의료 파괴 등 反의료 정책도 무력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좋은보건의료연대도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약사 등 15개 직종 보건의료인 2천여 명이 참여한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이들은 "'의료인을 계엄법으로 처단한다'는 포고령은 정권에 찬동하지 않는 국민과 의료인을 처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윤석열의 본질을 드러낸다"고 비판했다.
연대는 윤 대통령을 "헌법과 국민 건강권을 유린한 내란범"이라고 규정하고 "의료 개혁이라는 중대한 과제를 정치적 도구로 전락시켰으며 의료 현장을 파멸로 몰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의학·간호학·약학 등을 전공하는 전국의 보건의료 분야 학생 160여 명은 '윤석열 대통령 퇴진! 보건의료 청년·학생 모임'을 발족하고 탄핵 집회 현장에서 의료 지원 부스를 운영하기로 했다. 이들은 "계엄선언은 인권탄압적"이라며 "보건의료인으로서 퇴진 운동에 함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