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와 전국철도노동조합이 11일 오후 30시간에 걸친 마라톤 협상 끝에 임금·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도출하면서, 지난 5일부터 시작된 총파업이 7일 만에 종료됐다.
철도 노사, 총파업 하루 앞두고 마지막 협상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날 오후 3시 35분경 타결된 잠정합의안에 따르면, 노사는 올해 임금을 기본급 대비 2.5% 이내로 인상하고, 4조 2교대 근무체계는 국토교통부 승인을 거쳐 시행하기로 했다. 쟁점이었던 성과급 지급률 문제는 내년도 정부 연구용역을 통해 개선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성과급 지급률 개선'과 '2급 이상 경영진 2년간 임금 동결' 요구와 관련해 첨예하게 대립했으나, 경영진의 올해 임금 인상분 반납 등을 통해 접점을 찾았다. 또한 승진 포인트 제도를 내년부터 시행하고, 코레일 신규 노선의 외주화를 중단하며 부족 인력을 충원하기로 합의했다.
노조는 이날 오후 7시부터 총파업을 철회하고 업무에 복귀한다. 이에 따라 수도권전동열차는 12일 첫차부터 정상 운행되지만, KTX와 무궁화호 등 간선 여객열차는 복귀 직원 교육과 차량 편성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정상화될 예정이다.
최명호 철도노조 위원장은 "파업으로 불편을 겪은 열차 이용객과 국민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정부의 민자 철도사업 확대와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한문희 코레일 사장도 "국민 불편이 이어진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며 "열차 운행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번 파업은 지난 5일 시작된 이후 17차례의 협상이 결렬되며 장기화가 우려됐으나, 더불어민주당의 중재로 9일부터 재개된 협상이 극적 타결로 이어졌다. 잠정합의안은 조합원 찬반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