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12월 3~5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수행 긍정평가가 16%를 기록했으며, 특히 비상계엄 사태 이후에는 13%까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긴급 대국민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헌정 질서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한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75%로 나타났다. 특히 계엄령 선포 전인 3일에는 긍정 19%, 부정 68%였으나, 계엄령 사태 이후인 4~5일에는 긍정 13%, 부정 80%로 급격히 악화됐다.
부정평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경제/민생/물가'(19%)가 가장 많이 꼽혔고, '비상계엄 사태'(16%)가 뒤를 이었다. 반면 긍정평가 이유로는 '외교'(32%), '열심히 한다/최선을 다한다'(12%) 등이 언급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37%로 국민의힘(27%)을 10%포인트 앞서며 현 정부 출범 이후 최대 격차를 기록했다. 조국혁신당은 7%의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무당층은 26%로 나타났다.
계층별로는 대부분의 응답자 특성에서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가 우세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진보층에서는 부정평가가 90%를 넘었으며, 여당인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만 긍정과 부정이 각각 40%대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전후 지지율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여론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1.0%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