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친비트코인 정책 기대감으로 비트코인이 9만 달러를 돌파하면서 10만 달러 돌파 여부에 대한 시장의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 차트 [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대선 승리로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하며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비트코인은 트럼프의 재집권 후 규제 완화 기대감에 힘입어 미 대선 전 7만 달러대에서 약 30% 상승, 9만 달러를 기록하며 연말까지 10만 달러 돌파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한국시간 13일 오전 11시 기준, 코인마켓캡에서 비트코인은 88,085달러로, 일주일 전보다 24%가 상승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 가상화폐 규제 완화와 비트코인 비축을 공약하며 관련 산업에 호재를 안겨주었다.
특히 가상화폐 친화적 인사인 일론 머스크를 '정부효율부'의 수장으로 내정해, 규제 완화와 정부 지출 축소 정책이 비트코인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도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평가하며 통화가치 하락에 대비하는 수단으로 비트코인의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한 데에는 규제 완화 외에도 3월 반감기 이후 지속되는 ETF 자금 유입과 비트코인 채굴량 감소 효과 등도 기여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제프 켄드릭 애널리스트는 "비트코인의 랠리가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내년까지 20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반면 신중론도 제기된다. 블룸버그의 발렌틴 푸르니에 애널리스트는 비트코인이 과매수 구간에 진입했다며 고점 매수에 따른 변동성 확대를 우려했다.
페퍼스톤그룹의 크리스 웨스턴 또한 "비트코인 가격이 과열 상태에 있으며 추가 상승보다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이와 함께 FTX 파산으로 비트코인이 1만 5천 달러대까지 급락했던 사례를 들어 가상화폐의 불안정성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비트코인의 현재 랠리가 지속될지, 아니면 급격한 조정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블룸버그의 앨리슨 슈레이거 칼럼니스트는 "가상화폐는 대규모 거래에 비효율적이며, 변동성이 높아 안정적 자산으로서의 매력이 떨어진다"며 가상화폐의 가치저장 수단으로서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