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가 11월 4~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SK AI 서밋 2024'가 국내외 AI 전문가와 일반 관람객 등 3만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SUMMIT)’ 전경
국내 최대 규모로 개최된 이번 서밋은 정부, 민간, 학계의 AI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미래 AI 시대의 공존법과 생태계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교류의 장이 됐다.
최태원 SK 회장은 첫날 약 50분간 오프닝 세션을 주재하며, MS, 엔비디아, TSMC 등 빅테크 CEO들과 AI의 미래를 논의했다. 최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SK의 AI 역량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AI 혁신과 생태계 강화에 기여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을 선포하며 아시아태평양 데이터센터 허브로의 도약을 선언했고, 곽노정 SK하이닉스 CEO는 세계 최초로 'HBM3E' 16단 개발을 공식화했다.
국가 AI 전략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뤄졌다. 염재호 태재대 총장 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이 미국·중국에 이은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민간이 원팀으로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R&D 인프라 확보를 위한 세제 혜택 등 국가 차원의 지원과 개인화 데이터 및 소셜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제도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메인 세션 외에도 100여 개의 AI 기술 발표 세션이 진행됐으며, 'K-AI 얼라이언스'에 신규 4개 사가 합류해 총 19개 사가 참여하며 국내 AI 스타트업 생태계 강화와 글로벌 진출 방안을 논의했다.
전시관에서는 SK의 AI 인프라, AI 칩, AI 플랫폼, AI 서비스 등 50여 개 아이템이 선보였다. HBM과 액침 냉각 기술을 포함한 AI DC 솔루션, 텔코 LLM 등이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받았다.
엔비디아, AWS, 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전시와 구글 클라우드의 AI 포토 카드 체험존도 인기를 끌었으며, 'Deep Dive Zone'의 인플루언서 AI 토크 콘서트에도 수백 명의 관람객이 몰려 행사 열기를 더했다.